냉소와 독설이 위험한 이유

나도 그렇지만 냉소와 독설은 대개 지식인들의 상당수가 가지게 되는 버릇같은 것이기도 하다.
글과 말로 먹고 살아야하는 사람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한 방식으로 자신의 "흥분"과 "화"를 고스라니 문자 위에 거친 맥박으로 옮겨 놓는 것에 대해 일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도 하는데, 문제는 가끔 "흥분과 냉소의 언어"가 글쓴이의 의도를 왜곡하거나 전혀 다른 효과를 불러오기도 한다는 것이다.

진중권이 프레시안에 기고했다는 "....웃기고 자빠졌네!"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60080428094447) 는 그런면에서 위험한 글이다. 중국이란 정치체와 10억인들의 관계를 거의 자연화 시켜버린데다가, 단순한 "반중국" 논자들이 제멋대로 생각해버릴 가능성을 냉소와 흥분의 행간에 너무 많이 열어놔 버렸다.
그러니까 달리 말하면, 중국의 "애국주의적 광기"를 탓하다가, "반중국"이란 "집단적 혐오증"을 만들어내는 데로 나아가 버린 것이다. 이건 좀 아니지 싶다. 그가 그리 "불구대천의 원수"보듯 하는 주사파도 사실 좀 넓게 보면, "반미주의"라는 "집단적"이고 "단순한" 혐오증에 기댄바가 크다. 그러니까 "안티"테제는 그 자체로 논리적인 함정이 너무나 많고 얼마간 "폭력의 귀환"으로 밖에는 수렴되지 못 할 정치적 기획이라는 것이다.

중국 젊은이들의 "광기어린 애국주의"를 옹호하고 싶은 마음은 털끝 만큼도 없지만, 티벳 사태와 올림픽 성화봉송과 관련된 전지구적인 분란이 시사하는 바는 중국인들이 "소양"이 안됐다는지 하는 식의 즉자적인 역공격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민족주의와 민주주의가 반목하고, 자결권의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이상주의가 다층적으로 작동하는, 다시말해 티벳의 자결권과 중화민족(한족)의 자결권이 뒤엉켜 버리는 현재적 상황을 분석하는게 아닐까 싶다.

나이브한 제안 일 수도 있겠지만, 이미 충돌이 충분히 예상 되었던 사건인데, 그럼 적어도 미리 한번쯤 모든 이야기를 들어 볼 토론회 정도를 기획하는 것이 이른바 진보진영의 성숙된 모습이 아니었을까?
한국내에서 일하고 공부하는 중국 젊은이들도 그들이 "광적 중화주의자"던 무엇이던 이미 우리사회의 일부였던 셈이고, 티벳인들도 마찬가지고, 티벳 여행하고 돌아와서 작정하고 친티벳 지지자가 된 한국인들도 마찬가지고, 그 모든 문제에 "냉담"하거나 "무관심"한 인들도 함께 불러내서 말이다. 적어도 그러는 과정이 있었다면 느닷없이 서경석이나 플러첸 같은 인간들에게 논쟁의 주도권을 빼앗기지도 않았을 텐데하는 아쉬움이 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경찰은 뭐했나?" 식의 논의가 한국사회에서 티벳과 성화봉송 문제와 관련된 사후적인 논의의 주된 이슈가 되어야 하겠나?

도대체 그 많은 한국내 중국 전문가 학자들은 뭣 들 하시는 것일까? 자기 밥줄 끊길까봐 근신하시는 것도 아니고.. 진중권이 오죽했으면 자기가 뭔말을 하는지도 모를 만큼 흥분해서 글을 쓰겠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