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Portraits of Kaleidoscope/In the Empire State
2008. 4. 23. 17:26
엘리트주의는 정치인에겐 파산선고
힐러리가 필라델피아에서 승리했다.
예상된 결과지만, 슬슬 지겨워지고 있는 미국 대선 후보 경선이 좀 더 갈 것 같은 느낌이다.
오바마가 근소한 차로 져주기를 원했던 것도 부질없는 것이 었는데, 힐러리가 10%가 약간 안되는 지지율 격차로 이겼으니 힐러리로써는 막판 스퍼트를 올려 볼만한 중요한 기반을 가지게 된 셈이다.
이러다 정말 힐러리가 미국 민주당 후보가 되면 어쩌지 하는 생각도 잠시 들었는데, 어쨌든 이번 필라델피아 경선과정에서 오바마의 추격 전선을 가로 막았던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오바마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선거기금 모금 행사에서 했다는 "촌 사람 무시" 발언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실 직업을 잃고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small town Ameriaca" 의 사람들이 종교에 보다 더 귀의하거나 불안해진 치안 상황에서 총기에 더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 그 발언은 문맥상으로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었는데, 상황은 그렇지가 않았다.
힐러리, 맥케인 모두가 그 발언이 오마바의 "엘리트주의"를 보여준 것이라고 공격하고 나섰고, 결국 백인 노동자가 주를 이루는 필라델피아 경선에서 오바마가 힐러리를 이겨내기는 힘든 상황을 만들어냈다.
사실 부시가 고어를 이겨낸 것도 고어의 엘리트 주의에 대한 반감 때문이었다는 평가가 자자하고, 한국에서도 이회창은 그의 "귀족" 이미지 때문에 노무현 바람에 속절없이 무너져 내릴 수 밖에 없었다. 반면 노무현은 정치권력을 잡고 나서 "선생"과 "서민" 사이를 정신없이 오가는 바람에 오늘날 보수정치가 "씨받이" 역할을 자처하며 이명박 정권을 출범시키는데 기여했다. 말도 많지만, 사실 전체적인 추세상 적어도 "공주" 보단 "마빡이"가 더 가망있는 정치판인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올해 대선을 치루는 미국사회에서도 이 "마빡이" 경쟁이 나름 한창 인가 본데, 오늘 뉴욕타임즈를 보니 지난 월요일 NBC의 최고 인기 프로그램중의 하나인 " Deal or No Deal" 이란 프로그램에 미국 대통령 부시가 깜짝 까메오로 출연을 했단다.
사실 이 "사행성 프로그램"에 대통령이 출연한 것에 대해서 할말들이 많을 듯 한데, 어쨌든 출연자인 전역군인(이라크 복무를 마친)과 방청객 상당수는 거의 눈물을 보일 지경이니, 하늘에서 돈이 안떨어지는지만 바라보고 사는 미국의 수백만 "로또인생"들의 감수성을 자극하는데는 나름 성공적이었나 보다.
한번도 본적은 없지만, 한국의 무릎팍 도산가 허벅지 장사인가 하는 프로그램에도 정치인들이 출연했다던데.....
뉴욕타임즈 기사의 한토막은 오늘날 미디어 정치와 엘리트주의 문제에 있어서, 뉴욕타임즈만이 보여줄 수 있는 촌철살인의 문장인 듯.
"2008년 (미국)대선과 엘리트 주의의 관계는 1950년대의 대선과 공산주의와의 관계와 같다: 성공의 암초다."
다른 사람들이야 그렇다치고, 맥케인이 미국 드라마 24에 까메오로 출연했었다는 것은 오늘 처음 알았다. 저 몇초를 나오고 싶었을까 싶을 정도지만, 기꺼이 까메오를 열심히 해두는 것이 나중에라도 사람들의 흥미와 "친근감"을 만들어내는데 도움이 되는 듯. 이젠 정치인도 "종합 엔터테이너"의 반열에 올라야 할 듯.
예상된 결과지만, 슬슬 지겨워지고 있는 미국 대선 후보 경선이 좀 더 갈 것 같은 느낌이다.
오바마가 근소한 차로 져주기를 원했던 것도 부질없는 것이 었는데, 힐러리가 10%가 약간 안되는 지지율 격차로 이겼으니 힐러리로써는 막판 스퍼트를 올려 볼만한 중요한 기반을 가지게 된 셈이다.
이러다 정말 힐러리가 미국 민주당 후보가 되면 어쩌지 하는 생각도 잠시 들었는데, 어쨌든 이번 필라델피아 경선과정에서 오바마의 추격 전선을 가로 막았던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오바마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선거기금 모금 행사에서 했다는 "촌 사람 무시" 발언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실 직업을 잃고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small town Ameriaca" 의 사람들이 종교에 보다 더 귀의하거나 불안해진 치안 상황에서 총기에 더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 그 발언은 문맥상으로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었는데, 상황은 그렇지가 않았다.
힐러리, 맥케인 모두가 그 발언이 오마바의 "엘리트주의"를 보여준 것이라고 공격하고 나섰고, 결국 백인 노동자가 주를 이루는 필라델피아 경선에서 오바마가 힐러리를 이겨내기는 힘든 상황을 만들어냈다.
사실 부시가 고어를 이겨낸 것도 고어의 엘리트 주의에 대한 반감 때문이었다는 평가가 자자하고, 한국에서도 이회창은 그의 "귀족" 이미지 때문에 노무현 바람에 속절없이 무너져 내릴 수 밖에 없었다. 반면 노무현은 정치권력을 잡고 나서 "선생"과 "서민" 사이를 정신없이 오가는 바람에 오늘날 보수정치가 "씨받이" 역할을 자처하며 이명박 정권을 출범시키는데 기여했다. 말도 많지만, 사실 전체적인 추세상 적어도 "공주" 보단 "마빡이"가 더 가망있는 정치판인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올해 대선을 치루는 미국사회에서도 이 "마빡이" 경쟁이 나름 한창 인가 본데, 오늘 뉴욕타임즈를 보니 지난 월요일 NBC의 최고 인기 프로그램중의 하나인 " Deal or No Deal" 이란 프로그램에 미국 대통령 부시가 깜짝 까메오로 출연을 했단다.

http://www.nytimes.com/2008/04/22/arts/television/22watc.html
사실 이 "사행성 프로그램"에 대통령이 출연한 것에 대해서 할말들이 많을 듯 한데, 어쨌든 출연자인 전역군인(이라크 복무를 마친)과 방청객 상당수는 거의 눈물을 보일 지경이니, 하늘에서 돈이 안떨어지는지만 바라보고 사는 미국의 수백만 "로또인생"들의 감수성을 자극하는데는 나름 성공적이었나 보다.
한번도 본적은 없지만, 한국의 무릎팍 도산가 허벅지 장사인가 하는 프로그램에도 정치인들이 출연했다던데.....
뉴욕타임즈 기사의 한토막은 오늘날 미디어 정치와 엘리트주의 문제에 있어서, 뉴욕타임즈만이 보여줄 수 있는 촌철살인의 문장인 듯.
"2008년 (미국)대선과 엘리트 주의의 관계는 1950년대의 대선과 공산주의와의 관계와 같다: 성공의 암초다."
다른 사람들이야 그렇다치고, 맥케인이 미국 드라마 24에 까메오로 출연했었다는 것은 오늘 처음 알았다. 저 몇초를 나오고 싶었을까 싶을 정도지만, 기꺼이 까메오를 열심히 해두는 것이 나중에라도 사람들의 흥미와 "친근감"을 만들어내는데 도움이 되는 듯. 이젠 정치인도 "종합 엔터테이너"의 반열에 올라야 할 듯.
RECENT COMMENT